스키마란?
-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조건에 관해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 입니다.
스키마 구성 | 설명 |
속성 | 개체의 특성 |
개체 | 속성들의 집합 |
관계 | 개체 사이에 존재 |
이들을 유지해야할 제약조건들을 기술한게 스키마!! |
스키마의 특징
1) 스키마는 데이터 사전(Data Dictionary)에 저장됩니다.
*데이터 사전 : 시스템 전체에서 나타나는 데이터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지정한 중앙 저장소로
2) 현실 세계의 특정한 한 부분의 표현으로서 특정 데이터 모델을 이용해서 만들어지게 됩니다.
3) 시간에 따라 불변인 특성을 갖습니다.
4)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합니다.
5) 인스턴스에 의해 규정됩니다.
스키마 구분
- 스키마는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서 외부, 개념, 내부 스키마로 구분하게 됩니다.
스키마 구분 | 설명 |
외부스키마 |
조직의 일부분을 정의한것으로 개발사용자나 응용프로그래머가 접근하는 DB를 말합니다. |
내부스키마 |
전체 DB의 물리적 저장 형태를 기술한것으로 DB 시스템 구조에서 데이터가 실제로 저장되는 구조를 기술 |
개념스키마 |
모든 응용 시스템과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통합한 조직 전체의 DB구조를 논리적으로 정의한것입니다. |
'IT 용어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프트웨어 생명주기란? (0) | 2020.03.02 |
---|---|
배치 프로그램과 배치 스케줄러란? (0) | 2020.02.28 |
자료구조와 자료저장방법(순차, 인덱스) (0) | 2020.02.24 |
UML(다이어그램, 구성요소, 종류)이란? (0) | 2020.02.22 |
시스템 아키텍처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란? (0) | 2020.02.21 |